인도-파키스탄 분쟁과 미국의 개입, 국내에서 곤란해진 모디총리, 사실상 정치적 패배 |
|
|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와 파키스탄 간 카슈미르 분쟁에 대한 중재를 제안하면서, 인도 외교부는 강한 긴장감 속에 대응 수위를 고심하고 있다. 인도는 카슈미르를 헌법상 자국의 불가분 영토로 간주하며, 이 문제는 어떠한 형태의 협상도 거부한다. 특히 제3자 중재는 더욱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인도는 1972년 체결된 심라 협정을 근거로 모든 카슈미르 관련 문제는 양자 협상으로만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협정에 따르면 양국은 외부 개입 없이 평화적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미국의 중재로 인해 인도와 파키스탄이 ‘완전하고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하며, “천 년에 걸친 카슈미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국과 협력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인도는 통상 분야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려 하면서도, 카슈미르 문제에서는 자국의 입장을 고수해야 하는 외교적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 인도 제1야당인 국민회의는 “워싱턴에서 발표된 휴전 합의”에 대한 중앙 정부의 설명을 요구하며, 모든 정당이 참여하는 공동 회의를 열 것을 촉구했다. 당 대변인 자이람 라메시는 “(지금까지의 핵심 외교기조를 깨고)정부는 제3자 중재의 문을 연 것인가”라고 공개적으로 질문했다.
►미국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는 휴전 발표와 관련해 “양국이 중립 지역에서 광범위한 현안을 논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언했으며, 이는 인도 측에 크나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다.
► 미국 워싱턴 소재 우드로 윌슨 센터의 남아시아 전문가 마이클 쿠겔만 Michael Kugelman은 “인도는 휴전을 위한 포괄적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지속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파키스탄은 트럼프의 제안에 반복적으로 감사의 뜻을 밝혔으나, 인도는 휴전의 성립이 제3자 중재가 아닌 양국 간 협의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 파키스탄의 안보 전문 싱크탱크인 CRSS의 이므티아즈 굴(Imtiaz Gul) 소장은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신뢰 부족 속에서 오랫동안 제3자 중재를 지지해왔다”면서 “강대국의 개입 의지 자체가 파키스탄에는 도덕적 승리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도 정치권과 일부 분석가들은 인도가 파키스탄에 대한 미사일 공격을 단행함으로써 전략적 목적을 달성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인도 측은 이 공격이 지난달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관광객 대상 폭탄 테러(사망자 26명)에 대한 보복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파키스탄은 관련성을 부인하고 있다.
►모디 총리는 과거 총리들과 달리 파키스탄 영토 깊숙이 미사일을 발사함으로써 고위험 전략을 취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갑작스러운 휴전 수용으로 인해 드물게 국내 여론의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모디 총리의 소속 정당인 힌두 민족주의 정당 바라티야 자나타당 BJP의 전 국회의원 스와판 다스굽타Swapan Dasgupta는 “트럼프가 불쑥 등장해 정세를 중재한 방식이 인도 내에서 휴전의 정당성을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주요 야당인 국민회의도 이에 동조하며 “워싱턴 D.C.에서 발표된 휴전이 정부의 외교 노선과 어떻게 부합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라”고 요구했다. 국민회의 대변인은 “정부가 (지금까지의 전통을 깨고)제3자 중재의 문을 연 것이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
|
|
인도 미사일, 파키스탄 공군 인프라의 20% 증발시켜 |
|
|
►인도 공군은 2024년 5월 9일 밤, 파키스탄 공군(PAF)의 주요 기지 11곳을 타격해 전체 공군 인프라의 약 20%를 무력화했다고 주장했다.
►이 공습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와 파키스탄 간 전격적인 휴전을 발표하기 직전에 이루어졌다. 인도는 상징적 시위에 그치지 않고, 파키스탄 공군에 실질적인 피해를 입히기 위한 고강도 작전을 감행한 것으로 분석된다.
►타격 대상에는 인도-파키스탄 국제 국경으로부터 약 270km 떨어진 볼라리 Bholari 공군 기지를 포함해, 파키스탄 북부, 중부, 남부 공군사령부 산하 주요 기지들 라왈핀디 Rawalpindi, 차크왈 Chakwal, 사르고다 Sargodha, 라힘 야르 칸 Rahim Yar Khan, 자코바바드 Jacobabad, 수쿠르 Sukkur, 볼라리 Bholari, 쇼르코트 Shorkot 등을 지목했으며, 파스루르 Pasrur 와 시알코트 Sialkot 의 레이더 및 통신 시설도 공격 대상으로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 타임스는 5월 14일 자 보도를 통해 인도가 공습한 파키스탄 공군 기지의 ‘전후 고해상도 위성 사진’을 공개하며, “인도가 파키스탄 군사시설과 비행장을 명확히 식별하고 정밀하게 타격한 정황이 확인되었다”고 평가했다.
►워싱턴 포스트 또한 유사한 내용의 분석 기사를 게재하며 인도 측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특히 볼라리 및 샤바즈(Shahbaz) 공군 기지의 격납고 지붕에 각각 약 18미터(60피트), 30미터(100피트) 크기의 구멍이 확인되었다고 전했다.
►인도 정부 대변인은 공식 성명을 통해, F-16과 JF-17 전투기가 배치되어 있던 사르고다 및 볼라리 기지를 포함한 탄약고와 격납시설이 타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특히 볼라리 공군 기지 폭격으로 우스만 유수프 Usman Yusuf 중령과 공군 병사 4명을 포함해 총 50명이 사망했으며, 여러 대의 전투기가 파괴되었다고 덧붙였다.
►이는 미국의 정책 전환을 불러오는 계기가 되었다.
초기에는 ‘불간섭’ 기조를 유지하던 트럼프 행정부는, 5월 9일 밤 파키스탄 주요 작전 기지들이 인도의 집중 공격을 받는 상황이 벌어지자 태도를 선회했다. 워싱턴은 4일간의 충돌이 전면전으로 확전될 위험성을 인식했고, 이는 핵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이어졌다.
►이번 공습은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후 인도가 감행한 가장 규모 있고 결정적인 공중작전으로 평가된다. 파키스탄의 보복 시도는 대부분 인도의 방공망에 의해 격퇴되거나 최소한의 피해만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인도는 이번 공습을 통해 파키스탄 내 모든 주요 공군 기지가 자국의 정밀 무인기 및 미사일의 타격 범위 내에 있음을 명확히 시사했고, 이는 전략적 우위를 과시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
|
►인도가 파키스탄의 주요 군사 기지를 향해 지대공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미국 측의 첫 개입이 이뤄졌다. 이슬라마바드 시각 오전 4시,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은 파키스탄 내 실질적 최고 권력자로 평가받는 아심 무니르 Asim Munir 육군참모총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는 5월 10일에 체결된 인도-파키스탄 간 ‘취약한 휴전’의 출발점이 된 8시간 협상의 시작이었다.
►인도는 4월 카슈미르 지역에서 발생한 무장세력의 테러(26명 사망)에 대한 보복 조치로 5월 7일 수요일 새벽 파키스탄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으며, 당시 미국은 개입에 소극적이었다.
백악관 기자단의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오래전부터 싸워왔다. 단지 빨리 끝나길 바란다”고 답했고, 부통령 J.D. 밴스는 “우리 일이 아니다”라고 짧게 언급했다.
►그러나 5월 9일 밤, 양국 간 무력 충돌이 격화되자 미국 행정부는 두 핵보유국의 충돌이 지역은 물론 세계 전체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미국 정부는 이번 충돌이 ‘핵 위기’로까지 확대될 수 있는 현실적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기 시작했다. 이 우려는 5월 9일 토요일 새벽, 인도가 파키스탄 내 3개 핵심 공군기지(그중 하나는 라왈핀디의 누르 칸 기지 포함)를 선제 타격하면서 더욱 고조되었다. 해당 타격은 파키스탄의 임박한 보복 공격을 차단하려는 작전으로 알려졌다.
►라왈핀디는 파키스탄 핵무기 보관 및 지휘체계 본부가 위치한 곳으로, 공격 직후 셰바즈 샤리프 총리와 무니르 총장이 국가지휘기구(NCA) 소집을 검토했다.
► 한 파키스탄 안보 당국자는 “당시 모든 이들의 가장 큰 우려는 양국 간의 핵전쟁 가능성이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 직후 자신의 SNS에서 “우리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 핵전쟁을 막았다”고 자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루비오 국무장관에게는 파키스탄과의 조율을, 밴스 부통령에게는 인도 측 설득을 각각 담당하게 했으며, 루비오는 아심 무니르 육군참모총장, 아심 말리크 국가안보보좌관, 셰바즈 샤리프 총리와 반복적으로 통화하며 “지금은 멈춰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랍에미리트 UAE 도 중재에 나섰으며, 영국은 외교적 후방 채널을 통해 양측에 압박을 가했다.
► 인도 측은 이후 “우리는 오직 테러리스트를 겨냥했을 뿐이며, 파키스탄 군이 개입을 선택한 것은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5월 9일 토요일 오후 2시 30분,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작전국장(DGMO) 간 첫 공식 통화가 성사되었으며, 초기에는 오후 4시 휴전 개시를 합의했으나, 카슈미르 통제선(LoC)에서의 발포와 드론 정찰로 인해 일정이 지연되었다.
►휴전 합의에는 모든 적대행위의 즉각 중단 외에도, 향후 협상을 걸프 국가 중 한 곳(예: UAE)에서 개최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파키스탄 전 총리 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는 회담의 초점이 휴전 유지와 인더스강 조약 관련 협력 조율에 맞춰질 것이라고 밝혔다.
► 파키스탄은 미국의 중재 개입에 공개 감사를 표했으며, 샤리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식 감사를 표명했다. 반면 인도는 외부 개입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파키스탄이 먼저 휴전을 요청해왔다고 주장했다.
► 휴전 발표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천 년 후에도 카슈미르 문제 해결을 위해 인도와 협력할 것”이라며 중재 지속 의지를 언급했다.
► 그러나 카슈미르 분쟁은 천 년 전부터 지속된 것이 아니라,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이후 본격화된 현대 분쟁이다. 양국은 이 지역을 둘러싸고 세 차례 전쟁을 벌였으며, 카슈미르는 현재도 양국에 의해 분할 통치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군사화된 지역 중 하나로 평가된다. |
|
|
►인도와 파키스탄은 5월 10일 주말 휴전을 선언한 직후, 양국 모두 이번 사태를 자국의 승리로 규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토요일(5월 10일) 저녁 양국 간 휴전 성사를 공식 발표하였으며, 일요일에는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이 “막대한 인명 피해와 파괴를 초래할 수 있었던 무력 행사를 자제하는 지혜와 인내를 보였다”고 평가하였다.
► 양국은 휴전을 각각의 승리로 포장하며 자국 내 민족주의 열기를 고조시켰다. 인도의 라즈나트 싱 국방장관은 ‘신두르 작전 Operation Sindoor’을 통해 파키스탄 누르 칸 Nur Khan 공군기지를 타격한 사실을 강조하며, 이는 “단순한 군사 행동을 넘어 인도의 정치적·전략적 의지의 표현”이라고 언급하였다.
► 한편 파키스탄에서는 군에 대한 지지 시위와 축하 행진이 곳곳에서 발생하였으며, 셰바즈 샤리프 총리는 5월 11일을 “인도 공격에 대한 군의 대응을 기념하는 날”로 지정하였다. 언론인 바키르 사자드 Baqir Sajjad는 휴전을 “파키스탄의 계산된 승리”라고 평하며, “군사력 우위와 외교적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인도의 시도를 좌절시켰다”고 평가했다.
►특히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는 “군의 희생과 용맹이 오늘을 지켰다”며 대규모 시민 집회가 벌어졌다 파키스탄은 주로 미국의 이번 중재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 인도 측 국경 지역에서도 유사한 축하 행사가 이어졌으나 파키스탄에 비해서는 덜 열성적인 분위기다.
►인도의 선제 공격과 파키스탄의 연속적인 드론 공격 이후 양국 간 긴장은 더욱 격화되었다. 이에 미국은 직접적 중재에 나서 휴전 합의를 이끌어냈으며,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JD 밴스 부통령은 48시간 동안 양국과 집중 협상에 나서 토요일 저녁 양측의 무력 사용 중단을 성사시켰다. 사우디아라비아 및 영국도 중재 과정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 밴스 부통령은 초기에는 “이 문제는 미국의 일이 아니다”라며 개입을 거부하였으나, 미 정보기관의 “핵 충돌 위험성” 경고 이후 입장을 변경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직접 통화가 중재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히며, 이후 “양국과의 무역을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인도군은 일요일 언론 브리핑에서 파키스탄이 먼저 휴전을 요청하였다고 주장했다. 인도 국내 언론도 트럼프보다는 파키스탄이 먼저 휴전을 요청하기에 인도가 응했다는 식으로 보도중이다.
►인도는 “파키스탄 전투기 여러 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으나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반면, 파키스탄은 자체 분석과 전문가 보고서를 근거로, 이번 교전에서 프랑스제 라팔Rafale 전투기를 포함한 인도군 항공기 3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하였다. 인도는 해당 주장에 대해 “군사적 손실은 분쟁의 일부”라고 언급하며, “모든 조종사가 안전하게 귀환했다”고 답변하였다. |
|
|
모디 정부, 인도-파키스탄 휴전 중재에 미국 역할했다는 트럼프 주장 일축 |
|
|
►인도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가 제기한 인도-파키스탄 간 ‘정전 협정’ 중재 및 핵 충돌 방지 역할에 관한 모든 주장을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특히 카슈미르 분쟁에 대한 미국의 중재 제안 역시 단호하게 거절했다고 밝혔다.
►인도는, 미국이 무역 중단을 압박 수단으로 활용해 양국 간 정전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트럼프의 주장도 일축했다. 란디르 자이스왈 외교부 대변인은 “5월 7일 ‘신두르 작전’ 개시부터 5월 10일 양국 간 군사행동 중단 합의에 이르기까지, 미국 정부와 인도 고위 당국자들 간의 접촉에서 무역 관련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 자이스왈 대변인은 “잠무 카슈미르와 관련된 모든 사안은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이 직접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것이 인도의 일관된 입장이며, 이 원칙은 지금도 변함없다”고 강조했다.
►인도는 1972년 심라 협정과 1999년 라호르 선언을 근거로, 제3국 개입의 여지를 인정하지 않는 방침을 지속적으로 고수하고 있다.
► 트럼프는 5월 11일(토) 워싱턴에서 인도-파키스탄 간 정전을 발표했으나, 이는 양국 정부가 공식 확인하기 전의 일이었으며, 인도는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조용히 부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이후 이틀간 동일한 주장을 반복했다.
► 자이스왈 대변인은 “파키스탄이 군사 행동과 발포를 중단한 이유는 바로 인도군의 무력에 의한 압박이었으며, 정전을 유도한 것은 외부 중재가 아니라 인도의 군사력”이라고 강조했다. 루비오 및 밴스 부통령의 전화가 정전 합의로 이어졌다는 미국 측 설명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 그는 또한, “인도는 4월 22일 뻬헬감 Pahalgam 인근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에 대응하여 테러 기반 시설만을 타격했으며, 파키스탄이 발포를 중단하면 인도도 즉시 대응을 중단한다는 원칙을 분명히 밝혀왔다”고 강조했다. |
|
|
인도 국방 연구기관 "중국, 인도-파키스탄 분쟁 중 파키스탄에 위성 및 방공 지원 제공" 주장 |
|
|
►인도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인 합동전쟁연구센터 Centre for Joint Warfare Studies, CENJOWS는 중국이 파키스탄의 레이더 및 방공 체계를 재구성하여 인도군의 배치 및 공중 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밝혔다.
►센터는 4월 22일 발생한 뻬헬감 테러 이후 신두르 작전 전개시점까지 약 2주간 중국이 파키스탄의 위성 감시 범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밝혔다.
►만약 이런 분석이 사실이라면 중국의 역할은 단순한 무기 공급을 넘어 물류 및 정보 지원에까지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외교부와 국방부는 본 사안과 관련한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으며, 인도 외교부·국방부·군 당국 및 모디 총리실, 파키스탄 외교부와 정보기관 역시 질의에 대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
|
|
국민의회 총공세 | 휴전의 의혹을 밝혀라! 15개주 연쇄 집회 개최 |
|
|
►국민회의당 Indian National Congress은 5월 20일부터 30일까지 전국 15개 주에서 ‘자이 힌드 사바 Jai Hind Sabhas’라는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집회에서는 정부의 국가 안보 대응 방식과, 인도-파키스탄 간 적대행위 중단에 있어 미국의 ‘우려스러운 개입’에 대한 모디 정부의 침묵을 정면으로 비판할 예정이다.
►국민회의당 조직 총괄인 K.C. 베누고팔 K.C. Venugopal 사무총장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X를 통해, 이 집회에 퇴역 군인, 당 지도부, 일반 시민들이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의 안보 실패와 침묵으로 일관한 외교 대응에 대한 국민적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집회는 델리, 바메르, 쉼라, 할드와니, 빠뜨나, 자발뿌르, 뿌네, 고아, 벵갈루루, 코치, 구와하티, 꼴카타, 하이데라바드, 부바네스와르, 파탄코트 등 주요 도시에서 순차적으로 열릴 예정이다.
►국민회의당 전국실행위원회 Congress Working Committee, CWC는 뻬헬감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에 대해 ‘명백한 정보 실패’를 우려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문은 “이미 고조된 지역 긴장과 알려진 위협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테러리스트들이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여 다수의 희생자를 냈다는 점은 심각한 실패”라고 지적하며, “사건 발생 이후 어떠한 공식 책임도 규명되지 않은 점은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결의문은 또한 “국가 안보는 텔레비전용 선전으로 관리될 수 없으며, 전문성, 경계심, 제도적 책임이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어 “파키스탄에 대한 인도의 보복 작전이 갑작스럽게 종료된 데에는 설명되지 않은 수많은 의문이 남아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보복과 외교 압박을 통해 인도-파키스탄 간 휴전을 중재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정부가 어떠한 반박도 내놓지 않은 것은 국민이 납득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
|
|
망언의 정석:국가 안보에 대해 정부에 의문을 제기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
|
|
►BJP소속의 델리 주총리 레카 굽타(Rekha Gupta)는 보통사람당 AAP의 휴전 과정에 대한 진상규명 요청에 대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사안에 대해 정부나 군대를 향해 의문을 제기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고 일축
►굽타 주총리는 기자들과 만나 “비상 상황에서는 국가 전체가 군대와 함께하며, 국가 이익을 위한 결정이 내려진다”고 말했다.
►앞서 보통사람당은 인도와 파키스탄이 모든 군사행동을 중단하기로 합의한 배경에 대해 BJP 주도의 결정 과정에 의문을 제기해왔다. AAP는 뻬헬감 테러 공격 이후 정의가 실현되었는지, 그리고 그 결과로 이뤄진 휴전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요구했다.
►보통사람당 출신이자 직전의 델리 주총리였던 아티시는 이후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 올린 영상을 통해 “신두르 작전은 우리 군대의 용기를 보여준 작전이었다. 하지만 5월 10일 트럼프가 휴전을 발표한 이후, 정부는 이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국민은 지금 뻬헬감 테러리스트들이 체포되었는지, 그리고 ‘신도르’—힌두 기혼 여성의 상징—에 대한 복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알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보통사람당의 또 다른 핵심 인사이자 전 델리 부총리였던 마니시 시소디아 Manish Sisodia 역시 “갑작스러운 휴전 결정”의 배경에 어떤 외교적 또는 전략적 사유가 있었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는 월요일 대국민 연설을 통해, 신도르 작전 이후 처음으로 “인도는 핵 협박에 결코 굴복하지 않을 것이며, 테러와 무역, 테러와 대화는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세계에 분명히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도르 작전은 테러에 대한 인도의 새로운 국가 안보 원칙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우리는 단지 파키스탄을 향한 작전을 일시 중단했을 뿐이며, 향후 대응은 그들의 행동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
|
|
도시전 전문가 존 스펜서, 신두르 작전은 성공적 |
|
|
►전쟁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존 스펜서John Spencer는 X를 통해 “불과 4일간의 군사 작전 이후, 객관적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인도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는 점”이라며, “신도르 작전은 테러리스트 기반시설의 제거, 군사적 우위 입증, 억제력 회복, 그리고 새로운 국가 안보 독트린의 선포라는 전략적 목표를 완전히 달성했을 뿐 아니라 이를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다.
►존 스펜서에 의하면 인도는 5월 7일부터 시작된 4일간의 작전에서 9차례 종심 타격을 감행했으며, 파키스탄의 드론 군집을 무력화시키고, 6개의 군사기지 및 UAV 통제 허브를 타격했다. 이와 동시에 인도군은 자국 영공 방어 역량, 국산 무기 시스템의 실전 배치, 그리고 전자전 및 사이버전을 포함한 다영역 통합 작전 능력을 과시했다.
►스펜서는 이번 작전이 명확한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완수한 사례라며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 새로운 레드라인 제시: 인도는 자국민에 대한 테러 공격을 단순한 범죄가 아닌 전쟁 행위로 간주한다는 입장을 국제사회에 분명히 알렸다.
-
군사적 우위 증명: 인도는 정확한 타격으로 테러 및 군사 목표물을 무력화하고, 파키스탄의 반격 시도를 효과적으로 제압함으로써 양국 간 군사 능력 격차를 명확히 드러냈다.
-
억제력 회복: 긴장을 고조시키되 전면전으로 확대하지 않는 방식으로, 충돌의 수위와 범위를 인도가 주도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발신했다.
|
|
|
인도, 미중 합의 자극 받아 대미 무역 협상 태도 강경 전환 |
|
|
►인도 당국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중국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강경한 태도로 대응했기 때문에 외려 성과를 낸 것으로 보고, 인도 역시 보다 단호한 입장을 취하기 시작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그동안 백악관과의 우호적 관계 유지를 위해 무역 및 이민 문제에서 양보적 입장을 보인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을 활용해 인도-파키스탄 간 휴전을 이끌었다’고 반복 주장한 데 대해 인도 정부 내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것도 인도의 태도 변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뉴델리 기반 싱크탱크 사회개발협의회Council for Social Development의 비스와짓 달 Vijayit Dhar 교수는 “미국은 줄곧 인도에 일방적인 조건을 강요해 왔다”며, 인도의 보복 관세 언급은 “‘이제는 강하게 대응하겠다’는 초기 신호”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인도는 4월 미국 관세를 ‘세이프가드 조치(긴급 수입 제한)’로 간주하고 WTO 절차에 따라 협의를 요청했다.
►인도가 이번 주 보복 방침을 본격화한 시점은, 미국이 중국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인하하기로 합의한 직후였다. 이 미중 합의는 시진핑 주석의 강경 노선이 전략적으로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인도 역시 대미 협상에서 강경 기조를 취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 달 교수는 “미국이 중국에 양보했다면, 인도도 마찬가지로 자국 이익을 더욱 강하게 주장할 필요가 있다”며, “지금은 인도의 힘을 보여줘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6월 13일에도 “무역을 활용해 인도-파키스탄의 대립을 해소했다”고 재차 주장했으나, 인도 정부는 휴전 협의에서 무역 이슈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며 즉각 반박했다. 이는 고얄 장관의 방미 일정과 외교 분위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달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적 선을 넘었으며, 인도는 더는 뒤로 물러설 수 없다”고 지적했다. |
|
|
트럼프 인도생산 아이폰의 미국 수입에 반대입장. 모디와의 브로맨스는 끝나는건가?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인도 간 무역 협상과 인도 내 아이폰 생산에 대한 발언으로 다시 한 번 인도의 심기를 건드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애플의 아이폰 생산을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하려는 움직임도 비판했다. 트럼프는 애플 CEO 팀 쿡에게 “인도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인도가 기대하던 미·중 무역전쟁의 반사이익과는 전혀 다른 결과였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반대파들은 미국 대통령이 인도에서의 첨단 제조업 중단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와의 친밀한 관계를 조롱했다.
►일부 인도 관료들과 평론가들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 수십 년 만의 가장 격렬한 군사 충돌 이후, 화해 중재에 미국 정부가 관여했다고 트럼프가 주장한 데 대해서도 여전히 불만을 표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이러한 미국 측의 주장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인도 국가안보위원회 전 고문이자 외교 평론가인 브라마 첼라니는 목요일 소셜미디어 게시글을 통해 “파키스탄의 이슬람 테러 수출로 인한 사태에서 그들을 구해낸 후, 트럼프는 이제는 인도에서 아이폰을 생산하는 팀 쿡을 비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인도는 자국 경제 내 제조업 비중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아이폰 생산은 몇 안 되는 성공 사례로, 현재 전 세계 아이폰 생산량의 약 20%가 인도에서 조립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남부 타밀나두 주에서 생산되고 있다. |
|
|
인도가 드디어 월별 실업율 발표를 시작했다. 주목할 건 청년 실업율이다 |
|
|
► 인도 노동력 조사 PLFS의 첫 월간 보고서에 따르면, 4월 기준 15세 이상 인구의 실업률은 5.1%로 집계됐다. 농촌 지역은 4.5%, 도시 지역은 6.5%였다. ►이번 데이터는 ‘현재 주간 상태 Current Weekly Status’ 7일 동안 하루도 한 시간 이상 일하지 않았으나 최소 하루 한 시간 이상 구직 활동을 했거나 일할 의향이 있었던 사람을 실업자로 간주한다. 즉 일주일에 하루만 일해도 이 데이터에서는 제외된다. ►성별로는 15세 이상 남성 실업률이 5.2%, 여성은 5.0%였다. 농촌 남성은 4.9%, 여성은 3.9%였고, 도시에서는 남성 5.8%, 여성 8.7%로 도시 여성 실업률이 가장 높았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전국적으로 13.8%로, 농촌 청년 여성은 14.4%, 남성은 13.6%였다. 도시 청년층에서는 여성 23.7%, 남성 15.0%로, 특히 도시 여성 청년층의 실업률이 두드러졌다. ► 이번 조사는 2025년 1월부터 개편된 PLFS의 첫 월간 보고서로, 기존 분기별 데이터에서 월간 단위로 전환되어 노동시장 동향을 더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정책적 개입의 적시성을 높이기 위한 변화다. ►참고로, 이전 2024년 10~12월 분기 도시 실업률은 6.4%였다. |
|
|
인도, 93년 만에 인구조사에 카스트 항목 포함 |
|
|
►인도 정부가 1931년 이후 처음으로 전국 인구조사에 ‘카스트 caste’ 항목을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1950년 카스트 차별이 법적으로 금지된 이후에도, 수많은 인도인의 일상에 여전히 깊게 작용하고 있는 카스트 제도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 다시 조명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 나렌드라 모디 총리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사회 구조가 정치적 압력에 흔들리지 않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경제적·사회적 통합을 강화하고 국가 발전을 가속화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구재단 인도 Population Foundation of India의 푸남 무트레자 Poonam Muttreja 사무총장은 “국가가 정치적·사회적으로 불편한 구조적 불평등을 마주하도록 강제하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지난 세기 동안 정확한 카스트 데이터 없이 사회 정의를 실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정책 결정은 사실상 암흑 속에서 이루어져 왔다”고 지적했다.
►1947년 독립 이후 인도는 카스트 제도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제도를 도입해 왔다.
대표적으로 소외된 카스트 집단을 위한 적극적 조치 affirmative action가 마련되어, 정부 일자리와 교육기관 정원의 50%를 해당 계층에 할당하고, ‘불가촉성’ 개념을 폐지, 카스트에 기반한 차별을 법적으로 금지했다.
►그러나 인도 인간개발 조사 India Human Development Survey에 따르면, 인도 내 결혼의 95%는 같은 카스트 간에 이뤄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분리는 친구 관계, 직장, 지역사회 전반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모디 총리는 그동안 인구를 전통적인 카스트 기준으로 재분류하는 것에 반대해 왔다. 하지만 2024년 총선에서 여당인 인도인민당 BJP이 의회 과반 확보에 실패한 이후, 입장을 선회했다.
비평가들은 이 결정을 비하르 Bihar주 등 경합 지역에서의 정치적 입지 확보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비하르주는 2023년 자체적으로 카스트 인구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예상보다 훨씬 많은 주민이 소외된 카스트에 속해 있음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적극적 조치 할당 비율을 확대하려는 법적 논의도 진행 중이다.
►카스트 인구조사에 반대하는 측은, 인도가 과거의 구분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카스트를 공식화하는 것이 오히려 역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소득이나 교육 수준 등 사회경제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복지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EDITORS COMMNET by 전명윤 | 빙빙 돌려서 말할 필요 없이, BJP는 작년 총선거에서 사실상 패했고, 패배의 주요 원인으로는 하층 카스트 유권자들이 돌아선것을 제 1의 패착으로 분석하고 있다. 참고로 BJP는 힌두에 기반을 하지만 하층보다는 상층 카스트 기반의 정당으로 손꼽힌다.
올 하반기에 지방의회 선거가 실시될 비하르주는 BJP에 유리한 힌디 벨트에 속하는 주지만, 최근 주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주 인구의 약 63%가 OBC이하 하층 카스트로 분류된다. 인도는 할당제의 국가고 이 할당제를 늘리느냐 줄이느냐가 선거에서 표 쏠림을 만드는 기본 문법중 하나. 쉽게 말해 카스트 기반조사를 실시하면 하층 카스트 혹은 양쪽 사이에 걸린 중간계층이 할당제 혜택의 현실화를 희망할 것이고, 이게 BJP의 득표로 연결될 수 있다는 논리. 기사 하단에 나와있듯 이 시점에서는 다른 나라처럼 소득 수준으로 할당제 기준을 변경하면 문제는 외려 더 심플해진다. 물론 지금까지 할당제 혜택을 받았던 하층 카스트는 반발하겠으나. 현실적으로는 할당제 안에서도 잘사는 하층 카스트들이 일종의 이중혜택을 보는 구조가 고착화된지 오래됐다. |
|
|
인도 유튜버, 파키스탄 스파이 활동 혐의로 체포… 하리아나·펀자브서 스파이 체포 잇따라 |
|
|
►인도 하리아나주 방첩부서는 유튜브 여행 블로거 조티 말호트라 Jyoti Malhotra, 34세 를 간첩 활동 혐의로 체포하였다. 말호트라는 32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다양한 SNS 플랫폼에서도 상당한 팔로워를 확보하고 있었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말호트라는 파키스탄을 최소 4회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으며, 파키스탄 정보기관 소속 인물과 발리 Bali 여행도 동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녀는 2023년 뉴델리 주재 파키스탄 고등판무관 High Commission 에서 에산-우르-라힘 Ehsan-ur-Rahim라는 정보요원을 직접 만난 사실을 자백하였다. 해당 요원은 2024년 5월 13일 인도에서 추방된 바 있다.
►말호트라는 왓츠앱 WhatsApp, 텔레그램 Telegram , 스냅챗 Snapchat 등 암호화된 플랫폼을 통해 정보원들과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연락처를 자트 란다와 Jatt Randhawa 등 가명을 사용해 저장해 두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말호트라의 체포는 5월 7일 이후 하리아나 및 펀자브 Punjab 주에서 발생한 일곱 번째 간첩 관련 체포 사례로, 파키스탄 정보기관과 연계된 조직적 스파이망의 존재가 우려되고 있다. 5월 11일에는 펀자브 경찰이 말레르코틀라 Malerkotla 에서 파키스탄 요원 대니시와 연계된 인물 2명을 체포하였으며, 하리아나 경찰은 5월 13일에는 U.P 출신의 나우멘 엘라히 Naumen Elahi 를, 5월 15일에는 대학원생 데벤더 싱 딜론 Devender Singh Dhillon 을 각각 체포하였다. 이들은 파키스탄측에 군사 정보를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
|
|
중국 인플루언서의 ‘인도 전투기 격추’ 조롱 영상, 조회수 1억 돌파 |
|
|
►중국의 유명 인플루언서가 인도 공군의 프랑스산 라팔 전투기가 파키스탄의 중국산 전투기에 격추되었다는 내용을 조롱하는 영상을 게시해 인도 여론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중화권 매체 성도일보 등은 약 1,60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중국 인플루언서 하오형豪哥哥이 인도 국민 가수 달러 멘디 Daler Mehndi)=의 대표곡 ‘투낙 투낙 툰(한국명 뚫흟송)’을 개사해 중국 SNS에 게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영상은 “방금 산 전투기가 격추됐다”, “US$90억을 통째로 날렸다”, “망신살 제대로 뻗쳤다” 등 조롱조의 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도가 프랑스로부터 도입한 라팔 전투기가 파키스탄의 중국산 전투기에 격추되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영상 속 하오형과 출연자들은 인도식 터번을 항공기 모형 형태로 연출해 머리에 착용하고, 인도 전통 복장을 한 채 해당 개사곡을 부르며 인도를 희화화했다.
►해당 개사 영상은 틱톡(TikTok) 등 여러 플랫폼에서 조회 수 1억 회를 돌파했으며, 파키스탄 국방부는 공식 SNS 채널을 통해 이 영상을 공유하며 조롱에 동참했다. 미국 CNN 등 해외 주요 언론들도 해당 영상에 대해 보도하며 주목을 끌고 있다.
►이에 인도 정부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 구 트위터)에 영상 삭제를 요구하는 한편, 영상을 공유한 약 8,000여 개 계정의 차단도 함께 요청했다. 엑스 측은 인도 현지에서의 영상 삭제 요청은 수용했으나, 언론 자유를 이유로 계정 폐쇄 요청은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
|
|
인도, 본격적으로 인더스강 방류량 조절 계획 검토 |
|
|
► 인도는 뻬헬감 테러 직후, 1960년 체결된 인더스 수자원 조약Indus Waters Treaty에 대한 참여를 “보류”한다고 선언했다. 해당 조약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 물 사용권을 규정하는 국제 협약이다. 파키스탄은 관련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며, 양국 간 휴전 합의에도 불구하고 조약은 아직 복원되지 않았다.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조약 보류 이후, 주요 관계 부처에 파키스탄 사용 우선권이 있는 체납 Chenab , 젤럼 Jhelum , 인더스 Indus 강에서의 수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신속히 추진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체납강의 란비르 Ranbir 운하를 현재 60km에서 120km로 두 배 연장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이 운하는 인도에서 파키스탄 펀자브 지방으로 흐르며, 운하 확장을 통해 현재 초당 약 40입방미터인 유량을 최대 150입방미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 현재 파키스탄 농업 지역의 약 80%와 대부분의 수력발전소는 인더스 수계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대해 파키스탄은 인도가 조약을 중단한 이후 “파키스탄 몫의 물 흐름을 차단하거나 전환하려는 시도”는 “명백한 전쟁 행위”로 간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모디 총리는 최근 연설에서 “물과 피는 함께 흐를 수 없다”고 발언했지만, 인더스 조약 자체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CR 파틸 C.R. Paatil 수자원부 장관은 “모디 총리의 발언을 이행하겠다”며, “한 방울의 물도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 인도 정부는 현재 체납, 젤럼, 인더스 강에서의 수력발전 용량을 기존 3,360메가와트에서 12,000메가와트까지 확대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울러, 대규모 물 저장이 가능한 신규 댐 건설도 검토 중이다.
► 이샤크 다르 Ishaq Dar 파키스탄 외무장관은 인도가 조약 참여를 중단한 것은 “국제법상 위법”이라며, 조약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을 인도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또한 파키스탄은 세계은행, 상설중재재판소 PCA, 헤이그 국제사법재판소 ICJ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국제 기구를 통해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
► 전문가들은 인도가 파키스탄에 대해 수자원을 전략적 무기로 활용하는 방식이 양국 관계를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 내 지정학적 균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일부 인도 내 관측통은, 인도가 물을 무기화할 경우 중국이 동일한 전략을 인도에 대해 사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EDITORS COMMENT by 전명윤 | 파키스탄으로 흘러가는 6개의 강중, 인도가 관리하는 수틀레지, 비아스, 라비강의 경우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규모 댐이 이미 완공되어 있다. 이중 가장 큰 댐인 바크라 댐 Bhakra Dam의 경우 한국 소양강 댐의 4.5배에 이를 정도로 대규모다. 하지만 파키스탄과 공유하는 서부 3개강, 즉 체납, 젤룸, 인도령 인더스강의 경우는 저수용량을 최소화하고 수력 발전을 위해 물이 상시적으로 흐르게 설계되어 있다. 즉 인도가 파키스탄에 물길을 막으려면 위에 언급한 운하의 폭을 넓히는 방법 외에 기존 댐을 대규모 저수가 가능하게끔 중고하거나 여수로를 조정, 혹은 제방을 설치해야 한다. 말처럼 쉬운일도 아니고 최소 몇 년, 인도의 건설 속도라면 10년은 잡아야 가능한 일이다. 지구본 연구소에서 말했듯, 우기에는 물을 흘려보내야 하고, 건기때라면 파키스탄을 충분히 괴롭힐 수 있다. |
|
|
인도 전역, 터키, 아제르바이잔 상품 불매 확산 일로 |
|
|
►5월 7~10일 사이의 인도-파키스탄 전투중 터키가 파키스탄 입장을 지지했고, 파키스탄군이 사용한 드론이 터키산이었던 것에 대해 인도 전역이 분노하고 있으며 '자발적'이라고 쓰지만 관변 단체가 주도하는 불매가 이어지고 있다.
►가지아바드를 비롯한 몇몇 도시에서 과일 상인들이 터키산 과일에 대한 판매를 중단했고, 영화계는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에서 진행하기로 한 로케이션을 취소하기로 결의했다.
►우다이뿌르 건설업계도 터키산 대리석,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기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EDITORS COMMENT by 전명윤 | 불매는 5월 14일 부터 하나둘 나오기 시작했는데, 추세상 전국적으로 퍼질 것으로 보임 |
|
|
구자라트 대표 언론사 공동 소유주 구금… 정부 비판 보도가 배경인가? |
|
|
►인도 집행국 Enforcement Directorate, ED이 5월 14일 밤, 구자라트 주의 대표적인 구자라트어 일간지인 ‘구자라트 사마차르 Gujarat Samachar’의 공동 소유주 바후발리 샤 Bahubali Shah를 금융 사기 혐의로 구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자라트 사마차르는 1932년 창간된 구자라트 주 최대 규모의 지역어 신문 중 하나로, 현재 바후발리 샤와 그의 형제 슈레얀시 샤 Shreyansh Shah가 공동 운영하고 있다.
► 인도 국민회의 소속 상원의원인 샥티신 고힐 Shaktisinh Gohil은 “이번 구금은 단순한 금융 수사가 아니라, 해당 신문이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중앙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를 지속한 것에 대한 보복성 조치”라고 주장했다. 그는 “소득세 조사 후 단 몇 시간 만에 집행국이 개입했다는 점은 의심스럽다”고 덧붙였다.
► 해당 신문사는 이틀 전 소득세 당국의 압수수색을 받았으며, 이후 집행국 또한 신문사 본사 및 관련 시설에 대한 수색을 벌였다.
► 한편, 최근 발생한 뻬헬감 테러 공격 이후, 이 신문사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이 정부에 의해 차단되었고, 현재까지 계정은 비활성화 상태로 남아 있다.
►보통사람당 구자라트 대표 이수단 가드비(Isudan Gadhvi는 “소득세국과 집행국의 연속된 단속은 구자라트 사마차르의 독립적 언론 활동을 억압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그는 X를 통해 “비상사태 시기에도 불에 타버린 사무실 속에서 진실 보도를 멈추지 않았던 신문”이라고 언급하며, 이번 사태의 정치적 의도를 지적했다. |
|
|
►폐위된 네팔 국왕 갸넨드라 샤는 정치 권력 재획득을 시도하며, 과거 왕궁이었던 나라얀히티 궁전으로 복귀하여 다시 국가를 통치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그는 아버지 마헨드라 비크람 국왕과 마찬가지로 헌법의 근원으로 군림하며 법치 위에 군림하는 절대 권력자로 복귀하길 희망하고 있다.
►갸넨드라는 지역 순회 및 사원 방문을 통해 종교적 상징성을 강화하며 자신을 세계 유일의 힌두 군주로 포지셔닝하고 있다. 이러한 종교 활동은 신앙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인도 집권 여당인 인도 인민당(BJP) 및 그 모태 조직인 라쉬트리야 스와얌세바크 상그 RSS 의 정치적 후원을 얻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그는 2008년 7월, 제헌의회에 의해 공식 폐위되었고, 네팔은 헌정공화국 체제로 전환되었다. 당시 국민들은 군주제 폐지 이후 사회 정의와 경제 발전을 기대했다.
►하지만 공화정 수립이후 외려 경제민주주의는 쇠퇴하고, 부패가 만연했으며, 고용 창출은 정체 상태에 빠졌고, 국가는 스태그플레이션에 가까운 침체 상황을 겪고 있다. 교육 및 보건 시스템은 붕괴 직전이며, 청년 세대는 농업 생산에서 배제되면서 농촌 기반 경제는 급속히 약화되었다.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던 라스트리야 스와탄트라당 RSP조차 실망을 안겨주었으며, 이 같은 정치적 공백 속에서 갸넨드라는 군주제 부활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2025년 2월 19일, 네팔 민주주의의 날에 갸넨드라 전 국왕은 “국가 보호, 통합 유지, 번영 실현”을 위한 국민적 지지를 호소하며 공화 세력을 비난했다. 이는 사실상 반공화국 정서를 자극하는 선동이었다. 이후 3월 9일, 포카라에서 귀환한 갸넨드라를 환영하기 위해 지지자들이 트리부반 국제공항에 집결해 군주제 복귀를 외치며 왕정 복귀 운동의 리허설을 연출했다.
►갸넨드라는 87세의 나바라지 수베디(구 판차야트 의회 의장)를 중심으로 ‘공동운동위원회 Joint Movement Committee, JMC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에는 파산한 기업인, 논란이 많은 전직 장관이자 RPP 지도자인 카말 타파, 라젠드라 링덴, 두르가 파르사인 등 과거 군주제 체제에서 권력을 누렸던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대부분 공화국 체제 하에서도 관직을 이용해 부를 축적한 비민주적·기회주의적 정치인들이다.
►JMC는 2025년 3월 28일 제3차 민중운동을 선언하고 시위를 조직했으나, 대중적 지지 부족과 전략 부재로 완전한 실패로 귀결되었다. 이들은 반란을 성공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조차 갖추지 못했다.
►대다수 지식인들은 그의 반란이 실패할 것이라고 처음부터 확신했다. 그 이유는 그의 과거 통치 행보 때문이다. 2001년 왕궁 학살 사건으로 국왕에 즉위한 갸넨드라는 “정치적 군주”를 자처하며 입헌군주제 원칙을 정면으로 위배했고, 2002년 총리 해임 및 선거 연기를 단행하면서 정국 혼란을 가중시켰다.
►2005년 2월, 그는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사실상 절대군주제를 복원하였다. 당연히 국민적 저항을 초래했다. 그의 통치는 16개월간 기본권을 제한하고, 언론을 탄압했으며, 결과적으로 자유주의 세력, 중도 좌파, 마오이스트 세력의 연합을 촉진시켰다.
►이 연합은 12개 항 합의를 통해 2006년 4월 대규모 반왕정 시위를 조직하였고, 민주 공화국 수립의 길을 열었다. 2008년 제헌의회 선거에서 마오이스트가 제1당으로 부상하면서, 240년 역사의 샤 왕조는 종식되었다.
►오늘날 네팔 국민들은 정치 엘리트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고 있지만, 다수는 여전히 연방주의, 세속주의, 공화주의를 지지하고 있다.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으며, 시민들은 선거를 통해 지도자를 선출하고 있다. 군주제는 민주주의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다만 국민들은 공약을 실현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지도력과 정당을 갈망하고 있을 뿐이다. |
|
|
네팔, 구시대적인 지적재산권 기준에 대한 대대적 정비 "더이상 짭은 없다!"
|
|
|
►네팔에서는 유명 브랜드 제품에 대해 정품과 위조품이 동시에 유통되는 현상이 광범위하게 만연하고 있다. 예컨대, 코카콜라는 ‘클럽콜라’와 함께 진열되고 있고, 마운틴 듀는 ‘메인테인 듀’와 경쟁 중이며, KFC는 복제품 ‘KKFC’를 상대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적재산권(IP) 보호의 허점은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가로막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다국적 기업들은 불투명한 법 집행과 위조품의 범람을 목격하며 네팔 시장 진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현재 네팔의 지재권 체계는 2002년 저작권법 Copyright Act과 1965년 특허·디자인·상표법Patent, Design and Trademark Act의 두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자는 예술·문학 창작물, 후자는 산업재산권을 다룬다.
► 네팔은 2004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이후,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IP 체계를 정비하라는 압박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이번 법안은 WTO의 TRIPS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 협정과 파리협약 Paris Convention 내용을 대부분 반영하고 있다.
►새 법안은 저작권은 제외하고, 산업재산권 IPRs 전반—특허, 상표, 지리적 표시, 산업디자인, 집적회로 배치설계, 영업비밀—에 대한 포괄적 보호를 명시하고 있다. 관계자는 “이는 기존 1965년 법률보다 훨씬 광범위한 법적 프레임워크이며, 특히 지리적 표시, 집적회로, 영업비밀 등 주요 항목이 새롭게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눈에 띄는 조항은 ‘유명 상표 well-known trademark’ 개념 도입이다. 이는 네팔에 공식 등록되지 않았더라도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브랜드에 대해 자동 보호를 제공하는 조항으로, 현지인이 글로벌 브랜드명을 무단으로 등록·사업화하는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 네팔-미국 상공회의소 Nepal-US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의 키란 사카 Kiran Saka 회장 역시 최근 행사에서 “IP 법 집행 미비가 미국 기업들의 네팔 투자 결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 네팔이 IP 체계의 현대화를 향해 나아가는 가운데, 이번 법안이 모조품 유통을 억제하고 정품 브랜드를 보호하며, 외국인 투자 유치에도 긍정적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
네팔, 한국철도공사에 철도 인프라 투자 및 기술 협력 적극 요청 |
|
|
►5월 13일 한국철도공사 KORAIL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교통부 장관인 다할은 “철도 인프라 확충은 네팔 정부의 핵심 우선 과제 중 하나”라며, 한국 측의 기술력과 경험이 네팔 철도 개발에 기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다할 장관은, 네팔의 종교·문화·관광 거점들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러한 확장을 위한 사전 조사 및 타당성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해줄 것을 한국 대표단에 제안했다.
►그는 “네팔은 철도 인프라 확장을 위한 우호적 투자 환경을 조성 중이며, 구체적인 투자 방식과 협력 모델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논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네팔 투자청 Investment Board Nepal 의 CEO 수실 갸왈리 Sushil Gyawali는 “양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공동 태스크포스가 조만간 구성될 예정이며, 철도 개발과 확장에 대한 다양한 협력 방안이 본격적으로 검토될 것”이라고 밝혔다.
►회담에 참석한 한국철도공사(KORAIL)의 한문희 사장은 “KORAIL은 126년간 축적된 철도 개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네팔 철도 개발이라는 새로운 임무에도 적극 기여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을 전했다. |
|
|
🇱🇰스리랑카 사망 원인 70% 고혈압 관련… 환자 64%는 약물 치료 안 받아 |
|
|
►스리랑카 보건부 비전염성질환(NCD) 부서에 따르면, 고혈압은 전체 사망 원인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스리랑카 전체 인구의 34.8%가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그 중 상당수는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마라쿤 박사는 “고혈압 진단자 중 64%는 어떤 형태의 약물 치료도 받지 않고 있다”며, “고혈압은 초기 단계에서 자각 증상이 거의 없으며, 일부 환자의 경우 뇌졸중이나 심근경색이 첫 번째 증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스리랑카 보건부는 국가 공중보건 정책 수립과 질병 추세 분석을 위해 5년 주기로 비전염성질환에 대한 전국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
|
스리랑카, 국가 안보 우려로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 출시 보류 |
|
|
► 스리랑카 정부는 5월 초 스타링크(Starlink) 위성 통신 서비스의 출시를 중단했다.
► 위성 인터넷은 광케이블과 모바일 네트워크가 제한된 스리랑카의 원격 지역,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 그리고 재해에 취약한 지역의 연결성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분쟁과 경제 위기에서 회복 중인 국가로서, 저렴하고 탄력적인 연결성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스리랑카 정부는 스타링크 인프라를 통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거나 감청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우려를 표명하며, 보안 및 규제 프레임워크가 마련될 때까지 서비스를 진행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인도도 2021년 스타링크에 적절한 라이센스를 획득할 때까지 사전 주문을 중단하도록 요구했다. 인도네시아는 2024년 규제 보증을 받은 후에야 스타링크를 승인했다. 프랑스도 2022년 규제 기관이 의무적인 공개 협의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법원 판결 후 스타링크의 라이센스를 취소했다.
►2024년 초에 통과된 스리랑카의 온라인 안전법 Online Safety Act 은 콘텐츠와 디지털 플랫폼을 규제할 권한을 가진 온라인 안전 위원회 Online Safety Commission 를 설립했다. 외국 플랫폼을 포함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업체는 허위 정보, 선동, 국가 안보와 같은 문제에 관한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스타링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아니지만, 그 아키텍처는 로컬 라우팅과 감독을 우회하는 암호화된 고속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법적 책임, 국내 규제와의 상호 운용성, 보안 우선 순위와의 일치를 강조하는 스리랑카의 디지털 거버넌스 의제와 충돌한다.
►전 대통령 라닐 위크레메싱헤 Ranil Wickremesinghe 의 정부는 위성 네트워크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일론 머스크 Elon Musk 와 만나 2024년에 승인을 신속히 처리했다.
►그러나, 이러한 추진력은 새 정부 하에서 중단되었다.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 Anura Kumara Dissanayake 대통령의 정부는 스타링크의 국가 인프라와의 제한된 통합으로 인해 합법적인 정부 및 규제 감독이 제한된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수년 전 화웨이 Huawei의 5G 출시때도 스리랑카는 무척 조심스러웠다. 주요 파트너들이 스파이 활동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 후 화웨이는 배제되었다. 스타링크는 외국 감시보다는 국내 사각지대에 관한 것으로 다른 위험을 제시한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유사하다: 중요한 디지털 인프라가 국가의 통제를 벗어났을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 스리랑카의 강경한 입장은 비용을 수반한다. 스타링크를 차단하면 특히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디지털 포용성이 늦춰질 수 있다. 정부가 자체 통신 역량을 개발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지만, 인프라 구축에는 시간이 걸린다. |
|
|
🇧🇩방글라데시 임시정부, 아와미 연맹 활동 전면 금지 |
|
|
►방글라데시 임시정부는 작년 학생 주도 대규모 시위로 축출된 셰이크 하시나 전 총리가 이끄는 아와미 연맹(Awami League)의 모든 정치 활동을 전면 금지했다. 무하마드 유누스 총리는, 아와미 연맹의 활동 금지가 반테러법 Anti-Terrorism Act에 따라 이루어진 조치라고 밝혔다.
►아와미 연맹 산하 학생 조직인 방글라데시 차트라 연맹 Bangladesh Chhatra League 은 이미 지난 10월, 시위 중 폭력 행위 및 조직적 공격 연루 혐의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활동이 금지된 바 있다.
►유엔 인권사무소는 2024년 2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하시나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 과정에서 최대 1,400명이 사망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으며, 이로 인해 하시나 전 총리와 여권 고위 관계자 다수가 살인 및 중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반면, 1949년 창당되어 방글라데시 독립운동의 주역이었던 아와미 연맹은 공식 SNS 계정을 통해 “불법 정부의 결정은 모두 불법”이라며 정부의 조치를 강하게 비판했다.
|
|
|
완전히 새로운 갈등의 시작 | 중국, 인도 '치킨 넥' 인근 방글라데시 공군 기지 부지 조사 |
|
|
►인도 정보기관은 최근 방글라데시가 중국 측 관계자들과 함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비행장이 있었던 랄모니르하트 Lalmonirhat 지역에 새로운 공군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중국의 기술 및 재정적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젝트는 2025년 3월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특히 인도 동부 방면 군부대에 강한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공군기지 건설이 제안된 랑푸르 Rangpur 지역은 인도와의 국경에서 불과 20km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인도 정보기관은 해당 기지에 배치될 항공 자산 및 운영 목적에 대한 정밀 분석 작업을 수행 중이다.
현재로서는 이 기지가 민간용, 훈련용, 혹은 차세대 항공기 운용을 위한 목적인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 인도 국방 관계자들은 “방글라데시가 자국의 안보와 국방을 위해 비행장을 개발하는 것은 주권국가로서의 정당한 권리다. 그러나 해당 기지가 중국이나 파키스탄 등 제3국에 개방되어 인도를 겨냥하는 데 사용된다면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사안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현재 인도는 실리구리 회랑 일대에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다. 인도 육군의 트리샥티 군단 Trishakti Corps이 실리구리 인근에 주둔 중이며, 하시마라 Hasimara 공군기지에는 프랑스제 라팔(Rafale) 전투기 편대가 상시 배치되어 있다. |
|
|
🇵🇰연이은 인도의 국제외교적 실패:IMF 인도 반대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에 자금 지원 |
|
|
►IMF는 지난주 파키스탄에 US$ 10억 달러 규모의 구제금융을 승인했다. 이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 주도로 예상치 못한 휴전 발표 직전 이뤄진 결정으로, 인도 정부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인도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IMF는 이후에도 기후 위기와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파키스탄의 경제 회복력 제고 노력을 계속 지원할 것이며, 향후 추가로 약 US$14억의 자금 접근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도는 두 가지 주요 이유를 들어 이번 결정에 공식적인 우려를 표명했다. 첫째, 파키스탄의 개혁 이행 실적이 부진하다는 점에서 구제금융의 ‘효율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둘째, 해당 자금이 ‘국가 후원의 초국경 테러 활동’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일부 파키스탄 내 전문가들조차 인도의 첫 번째 주장에는 일정 부분 타당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파키스탄은 1958년 이후 24차례나 IMF 구제금융을 요청하면서도, 지속적인 구조 개혁에는 소극적이었다.
►후세인 하카니 전 파키스탄 주미 대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IMF에 가는 것은 중환자실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어떤 환자가 24~25번이나 ICU에 들어갔다면, 그 사람은 구조적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전문가들은, 인도의 반대 움직임은 실질적 영향력보다는 정치적 메시지에 가깝다고 평가한다. IMF는 정해진 절차와 기술적 기준에 따라 판단하며, 개별 국가의 반대가 승인 여부를 바꾸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인도는 IMF 집행이사회 25명의 이사 중 한 명으로서, 인도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인도는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부탄 등을 포함한 4개국 그룹을 대표하는 반면, 파키스탄은 이란이 포함된 중앙아시아 그룹에 속해 있다.
►IMF는 유엔의 1국 1표 원칙이 아닌, 국가별 경제 규모와 기여금에 기반한 가중 투표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선진국에 유리하고 개발도상국에는 불리한 구조라는 비판이 지속되어 왔다.
►미국은 16.49%의 의결권을 가진 최대 주주이며, 인도는 2.6% 수준에 불과하다. 게다가 IMF 규정상 ‘반대표’가 존재하지 않으며, 회원국들은 찬성하거나 기권만 할 수 있고, 모든 결정은 이사회의 합의에 기반해 이뤄진다.
► 하카니 전 대사는 인도의 우려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면, IMF보다는 테러 자금 조달을 감시하는 유엔 산하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적절한 채널이라고 주장했다.
►하카니는 “IMF 내 항의는 효과가 없었다. 반면 FATF 목록에 오르면 실제로 대출 접근이 차단되는 결과가 발생한다”며, 과거 파키스탄이 회색 목록에 올라 대출에 어려움을 겪었던 전례를 언급했다. 현재 파키스탄은 2022년 FATF 회색 리스트에서 공식 제외된 상태다. |
|
|
파키스탄, 인도와의 충돌에서 중국제 무기 성능 입증… 글로벌 무기 시장에 미칠 영향 주목 |
|
|
►2024년 5월 초,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서 짧지만 예리한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 인도 측이 ‘신도르 작전 Operation Sindoor’이라 명명한 이번 충돌은, 단순한 국지전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특히 중국제 무기와 서방제 무기의 실제 전투 성능이 충돌 현장에서 맞붙었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 파키스탄은 자국 무기 체계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약 400대 규모의 전투기 중 절반 이상이 중국제 JF-17 및 J-10C 기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차와 방공 시스템 또한 중국산이 주를 이룬다. 반면 인도는 러시아와 프랑스 등 서방 국가의 무기체계를 혼합 운영하고 있다.
►이번 충돌은 현대 전장에서 이질적인 무기 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시험하는 사실상 첫 실전 테스트로 평가된다. 교전 중에는 무인기가 국경을 넘나들고, 항공기 간의 가시거리 밖 미사일 교환도 벌어졌다.
►미국 공군 산하 중국 항공우주연구소 China Aerospace Studies Institute 의 브렌던 멀바니 소장은 이번 충돌에 대해 “중국제 장비, 심지어 수출형 버전조차도 현대적이며 충분한 능력을 지녔습니다. 이번 충돌은 중국 무기가 국경 너머 실제 군사적 대응에 동원될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 사례입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 SIPRI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중국은 파키스탄에 약 US$82억 달러규모의 무기를 판매했다.
특히 2020~2024년 사이 파키스탄은 중국 무기 수출량의 63%를 차지하는 최대 고객국이었으며, 중국은 이 시기 세계 4위 무기 수출국으로 기록되었다.
►멀바니 소장은 “중국의 J-10C 전투기가 PL-15E 장거리 미사일을 사용해 인도 공군의 라팔(Rafale) 전투기를 격추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놨다.
► 소셜 미디어 상에는 인도군이 회수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제 PL-15E 공대공 미사일 잔해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다. 멀바니는 이 무기에 대해 “현대적이고 성능이 뛰어나며, 인도 공군이 보유한 어떠한 무기와 비교해도 대등하거나 일부는 앞서며, 수출형조차 상당한 사거리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이번 충돌은 단순한 공중전으로 그치지 않았다. 양국은 무인기 및 순항미사일을 상호 기반시설에 발사했으며, 이에 따라 양측의 방공 시스템도 전면적으로 가동되었다. 파키스탄은 중국제 장거리 HQ-9, 중거리 LY-80(HQ-16), 단거리 FM-90(HQ-7) 방공체계를 운용 중이며, 인도는 러시아제 S-400과 자국산 아카시 Akash 방공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 중국 정부와 국영 언론은 즉각 자국 무기의 실전 성과를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차이나 아카데미’는 중국 국방 칼럼니스트 후 시진의 논평을 인용해 “이는 중국 무기의 세계 무대 데뷔 중 가장 설득력 있는 사례이자, 중국 군사 산업의 결정적 전환점”이라 자평했다.
► 영국 채텀하우스 Chatham House 의 남아시아 선임연구원 치에티지 바즈파이는 “중국의 입장이 더는 중립적일 수 없다는 점을 이번 사태가 보여주었다”고 경고하며, “만일 인도-파키스탄 간 충돌이 확전되거나 핵무기 위기로 번질 경우, 중국은 더욱 직접적인 개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 양국은 2024년 5월 10일, 공식적으로 휴전을 선언했다. |
|
|
파키스탄-인도 전투, 파키스탄 군부 인기 급상승중 |
|
|
►파키스탄 정부는 최근 인도와의 4일간 군사 충돌 이후 ‘승리’를 선언하며, 수년간 누적된 정치·경제·안보 위기 속에서 국가 기관, 특히 군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전국 곳곳에서는 정당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군의 성과를 기념하는 거리 행진과 집회를 열며, 이례적인 지지 분위기를 형성했다.
►국제 안보 분석가들은 이번 충돌을 사실상 ‘무승부’에 가까운 전투로 평가하고 있으나,
파키스탄 내부에서는 경제 규모가 10배 이상 큰 인도를 상대로 국토를 방어해낸 성과에 대한 자긍심 회복의 분위기가 감지된다.
►실제로 파키스탄은 이번 충돌 직전까지 여러 중첩된 위기를 겪고 있었다.
-
2022년 임란 칸 전 총리의 해임과 구금 이후 정치적 양극화가 극심했고,
-
군부의 영향이 의심되는 선거로 출범한 현 정부는 정당성 논란에 휘말렸다.
-
여기에 연료, 식료품, 전기 가격의 급등과
-
아프가니스탄 접경지대 및 남서부의 치안 악화가 겹치며 국민 불만이 고조된 상태였다.
►사이예드 아심 무니르 Syed Asim Munir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은 이번 위기를 계기로 개인적, 제도적 이미지 개선 효과를 본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과거 파키스탄 군부가 보여온 ‘인도와의 긴장 고조 → 대중 지지 상승’이라는 역사적 패턴과 유사하다. 대표적 사례는 1999년 카르길 전쟁 당시 무샤라프 장군이 국민적 인기를 얻고 그해 말 쿠데타로 집권한 사건이다. |
|
|
자발적 후원을 받습니다.
카카오 뱅크 3333-01-4478530 전명윤입니다.
지금까지 손X일, 강X용, 김X주, 최X석, jhputra.so, 유X상, 유X근, 신X진, 김X진, 김X응, 이X형, 박X현, 김X훈, 김X혁, 최마X사, 똥X, 백X일, 이X우, 김X해, 김X주, 이X기, 조X준, 이X형, 정X연, 김X율, 이X영, 박X학님께서 후원해주셨습니다. |
|
|
전명윤
trimutri100@gmail.com | +82 1071683414
현)경제사회연구원 문화위원
현)국악방송 ‘문화시대’ 교통방송 TBN ‘선우경의 주말특급’ 불교방송 '세계는 한가족' 고정 출연
한겨레 오피니언 칼럼 ‘전명윤의 환상타파’ 컬럼리스트
시사IN ‘소소한 아시아’ 아시아 역사・문화 컬럼리스트
시사저널 국제분쟁 전문기고
프렌즈 인도・네팔, 리멤버 홍콩등 13권의 서적 집필
EBS 세계테마기행 스리랑카 편 코디네이터
맹현철
joshua3@snu.ac.kr, +82 10 8381 3073
현) 서울대학교 남아시아센터 선임연구원
전) IIMB (방갈로르 인도경영대학원) 마케팅 교수
남아시아 (인도, 스리랑카 등) 경영, 경제, ODA, 교육, R&D 분야 자문 및 연구과제 수행
한-인도 교육 분야 인적 교류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삼프로TV 언더스탠딩 등 국내 방송에 다수 출연
인도 스마트시티, 스리랑카 인사관리 가이드북 공저
홍콩과기대 마케팅 박사, 서울대 경영학 석사, 학사
|
|
|
주간 인도동향
trimutri100@gmail.com | joshua3@snu.ac.kr
+82 10 7168 3414 | +82 10 8381 3073
|
|
|
|